카테고리 없음

기후동행카드 구매 및 충전, 청년 요금, 유의사항, 판매처 등 정보 총 정리

탸미 2024. 3. 19. 21:42
반응형

 

서울시가 3월 30일부터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를 '김포골드라인'까지 확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
그래서 서울에서 거주하시는 분, 직장인 등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

그래도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.

 

이 글을 통해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1. 기후동행카드란?

기후동행카드
기후동행카드

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)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.

 

기후변화와 교통혼잡 2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,

서울특별시는 대중교통의 이용률을 올리고 교통비는 줄이는 것에 큰 역활을 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.
2023년 9월 11일에 발표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 교통카드로 2024년 1월 23일 모바일 및 실물 카드가 출시되고, 1월 27일부터 6월 30일까지 기간으로 서울지역 지하철,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(심야버스 포함) 및 마을버스, 따릉이를 이용범위로 하여 시범사업이 개시되었다.

 

사업기간 : 2024년 1월 27일(토) ~ 6월 30일(일)
이용범위 : 서울지역 지하철, 서울시 면허 시내·마을버스, 따릉이
이용제외 : 신분당선, 서울지역 외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, 타 지역 면허버스

기후동행카드 홈페이지

 

2. 기후동행카드 구매방법

기후동행카드는 2가지 버전이 있습니다.

우리가 평상시에 사용하는 '실물카드'와 스마트폰 어플 '모바일티머니'가 있습니다.

기후동행카드-실물도안
기후동행카드 실물도안

- 실물카드 

발급비용 : 3,000원(지하철 고객안전실은 현금 구매만 가능, 카드 소진시 발급 불가)
판매처 위치 : 서울교통공사 1~8호선 고객안전실, 역 인근의 CU, GS25, 세븐일레븐, 이마트24 (3월 이후 위치 발표 예정)
카드 등록 방법 : 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번호 등록

기후동행카드-모바일버전
기후동행카드 모바일버전

- 모바일 카드

발급비용: 무료
등록방법: Android 12 이상 버전이 탑재되어 있는 스마트폰 내 모바일티머니 앱 사용 (iOS, 갤럭시 워치 미지원)

3. 기후동행카드 충전 방법

실물카드와 모바일카드의 충전하는 방법은 다릅니다.

 

실물카드의 충전방법

서울교통공사(1~8호선), 9호선, 우이신설선, 신림선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현금으로 충전해야 합니다.

 

모바일 충전방법

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월 이용요금 계좌이체 충전해야 합니다.

 

4. 기후동행카드 청년 요금

기후동행카드-청년-요금
기후동행카드 청년 요금

청년 요금은 55,000원과 58,000원으로 일반권보다 약 7,000~8,000원 정도 더 싸다.

직장 출퇴근이나 학교 등하교 등 자신만의 루트를 잘 파악해서 알맞는 걸 찾는게 좋을 것 같다.

 

청년은 만 19세부터 34세까지 적용되므로 청소년과 헷갈리면 안됩니다.

2024년 7월에 출시되고, 그 전 요금들은 2024년 6월 30일까지 사용하고 7월에 환급신청을 하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티머니 홈페이지에 등록한 경우에 한해 2월 26일부터 사용분을 7월에 소급해 환급해줍니다.

5. 유의사항

사용기간은 사용개시일 04시부터 사용종료일 다음날 03시 59분 59초까지 입니다.

예컨대 사용기간이 1월 27일 ~ 2월 25일이라면 1월 27일 04시부터 2월 26일 03시 59분 59초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.

 

환불을 원하시는 분은 사용기간 만료 전(개시일로부터 30일 이내) 사용잔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은 환불이 가능합니다.
(환불액 : 카드충전금 – 대중교통 실 사용액 – 수수료 500원)

 

**** 지하철의 경우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합니다.
예 : 종로3가(서울) 승차→인덕원(경기) 하차, 기후동행카드 사용불가, 하차역에서 역무원에 의해 별도 요금 징수
승차역에서 하차역까지의 운임요금 부과됩니다.

 

반응형